본문 바로가기
건강 정보

비염vs축농증 차이 알아보기

by JeInfo 2025. 6. 8.

 

비염과 축농증은 대체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 걸까요원인부터, 치료 방법까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두 질환을 구분하는 것은 중요합니다. 오늘은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비염과 축농증의 차이점, 그리고 각각의 증상, 원인,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비염 vs 축농증

비염이란?

1. 정의 : 코 점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

2. 원인: 알레르기(꽃가루, 먼지 등), 자극물, 온도 변화 등

3. 비염의 종류

  • 알레르기 비염: 면역 반응
  • 비알레르기 비염: 냄새, 온도 등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

축농증 (부비동염)이란?

1. 정의: 부비동(코 옆 빈 공간)에 염증이나 고름이 생긴 상태

2. 원인: 세균 감염, 비염이 오래 지속될 때, 코 구조 문제 등

3. 종류

  • 급성 부비동염: 감기 후 발생, 일시적
  • 만성 부비동염(축농증): 12주 이상 지속되는 염증

📌 비염와 축농증, 한눈에 비교

구분 비염 축농증(부비동염)
염증 부위 코 점막 부비동 (코 주변 공간)
원인 알레르기, 자극물 세균 감염, 비염 악화
증상 맑은 콧물, 재채기, 코막힘, 가려움 누런 콧물, 얼굴 압통, 코막힘, 두통
코 분비물 맑고 투명함 누렇거나 녹색, 점도(끈적함) 높음
동반 증상 , , 목 가려움 얼굴 통증, 눈 주위 압통, 후비루
치료 방법 항히스타민제,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항생제, 비강세척, 심하면 수술
지속 기간 계절성 또는 지속적 급성(2~4) / 만성(12주 이상)

 

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으시다면 축농증이 의심되오니 꼭 병원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.

  1. 2주 이상 누런 콧물이 멈추지 않는 경우
  2. 얼굴 앞쪽, 눈 주위가 욱신거리거나 아픈 경우
  3. 머리가 무겁고 두통 지속되는 경우
  4. 코막힘으로 인해 냄새를 잘 못 맡는 경우
  5. 비염이 너무 오래 지속되어 삶의 질이 떨어진 경우
 

비염에 좋은 음식 10가지

 

비염과 축농증 진단

비염과 축농증은 증상만으로는 구분이 어려울 수 있어, 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.

 

  1. 비경 검사: 코 안 점막 상태 관찰
  2. X-ray 또는 CT 촬영: 부비동에 농(고름)이나 염증이 차 있는지 확인
  3. 알레르기 검사: 비염 여부 판단

치료 방법

비염 치료

  • 알레르기 회피 (먼지 제거, 마스크 착용)
  • 항히스타민제, 코 스프레이
  • 면역 요법 (알레르기 비염일 경우)

축농증 치료

  • 항생제 처방 (세균 감염에 효과적)
  • 비강 세척, 비강용 스테로이드
  • 만성 축농증일 경우 내시경 수술 고려
 

비염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 &마사지

 

 

비염약 인기순위 & 증상별 비염약 추천

 

비염은 외부 자극에 대한 과민반응, 축농증은 감염으로 인한 염증이라는 차이점을 기억해 두세요. 둘 다 코 관련 질환이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, 정확한 진단이 필수입니다. 조금이라도 "평소 비염 같지 않은 증상"이 있다면, 방치하지 말고 이비인후과를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.